2025. 4. 9. 08:30ㆍ건강 모음
치매(Dementia)란?
치매(Dementia)는 뇌의 신경세포가 손상되거나 퇴행하면서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사고력 등의 인지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치매는 단순한 노화 과정이 아니라 뇌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증상이 점차 악화되면서 결국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워집니다.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주요한 건강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전측두엽 치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
1. 치매의 주요 원인과 유형
치매는 원인에 따라 크게 퇴행성 치매, 혈관성 치매, 기타 원인성 치매로 구분됩니다.
①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 약 60~70%
가장 흔한 치매 유형으로,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과 타우(Tau) 단백질이 축적되어 신경세포가 손상됩니다.
초기 증상: 최근 기억력 저하(특히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 감소), 시간 및 장소 혼동
말기 증상: 언어 장애, 보행 장애, 심한 인지 기능 저하
②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 약 15~20%
뇌졸중(뇌경색, 뇌출혈)이나 만성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거나 계단식으로 악화됨이 특징입니다.
주요 증상: 집중력 저하, 판단력 장애, 감정 기복, 우울증
③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 약 10~15%
뇌에 루이소체(α-시누클레인 단백질)가 축적되어 신경세포가 손상됩니다.
주요 증상: 시각적 환각, 운동 이상(파킨슨병과 유사한 떨림, 경직), 하루 중 인지 기능 변동
④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 약 5~10%
전두엽과 측두엽이 손상되면서 감정 조절, 성격 변화, 언어 장애가 나타납니다.
초기 증상: 이상 행동, 무관심, 언어 사용 장애
⑤ 기타 원인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만성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뇌 손상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프리온 단백질 이상으로 발생하는 치매(빠르게 진행됨)
비타민 B1 결핍(Wernicke-Korsakoff 증후군):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기억력 장애
---
2. 치매의 주요 증상
치매는 초기(경도) → 중기(중등도) → 말기(중증)로 진행되며, 점점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① 초기 증상 (경도 치매)
최근 기억력이 저하되어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림
시간과 장소에 대한 혼란(길을 잃음, 날짜 혼동)
계산 능력 저하(돈 관리, 장보기 어려움)
우울증, 무관심, 성격 변화(예민해지거나 공격적)
② 중기 증상 (중등도 치매)
가족과 친한 사람도 인식하지 못함
일상생활 수행(식사, 옷 입기, 목욕 등)이 어려워짐
언어 능력 저하(단어를 잊어버리고 말이 어눌해짐)
피해망상(도둑이 물건을 훔쳐갔다고 생각함), 환각(보이지 않는 사람이 보임)
③ 말기 증상 (중증 치매)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해짐
스스로 음식 섭취, 배변 조절 불가능
보행 장애, 근육 경직(움직이기 어려움)
심한 체중 감소 및 전반적인 신체 기능 저하
---
3. 치매의 진단 방법
치매는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다양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합니다.
① 신경심리검사 (MMSE, K-MMSE, MoCA 등)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계산력 등을 평가하는 검사
간단한 질문과 테스트를 통해 치매 여부를 확인
②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저하, 비타민 B12 결핍, 간 기능 이상 등 치매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감별
③ 뇌 영상 검사 (MRI, CT, PET 등)
뇌 위축(알츠하이머병), 뇌혈관 손상(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침착 여부 확인
④ 유전자 검사 (특정 유전자 변이 확인)
조기 발병 가족성 알츠하이머병(PSEN1, PSEN2, APP 유전자) 등 유전적 요인을 확인
---
4. 치매의 치료 방법
① 약물 치료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알츠하이머병 진행 속도 감소
NMDA 수용체 길항제(Memantine): 중증 치매 치료
② 비약물 치료
인지 치료(퍼즐, 그림 맞추기 등), 음악 치료, 운동 요법
③ 생활 습관 관리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지중해식 식단) 유지
금연, 절주, 혈압·당뇨·콜레스테롤 관리
---
5. 치매 예방 방법
두뇌 활동 증가: 독서, 게임, 악기 연주, 퍼즐 맞추기
운동 습관 유지: 걷기, 요가, 근력 운동
사회적 교류 유지: 친구, 가족과 대화, 모임 참여
건강한 식습관: 지중해식 식단(과일, 채소, 생선, 견과류 등)
만성 질환 관리: 고혈압, 당뇨, 비만 예방
---
6. 치매 환자의 돌봄과 가족 지원
치매 환자는 점차 자립 능력을 잃어가므로 가족과 간병인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안전한 환경 조성: 넘어지지 않도록 집안 정리
정서적 지원: 환자의 감정을 존중하고 안정적인 환경 제공
간병인 지원 프로그램 활용: 치매 센터, 간병인 교육 참여
---
7. 결론
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진행성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추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건강한 생활 습관과 두뇌 활동을 지속하는 것이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건강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암: 원인, 증상, 예방법 총정리 (0) | 2025.04.10 |
---|---|
여드름(Acne)란? (2) | 2025.04.09 |
게실염(Diverticulitis)란? (0) | 2025.04.09 |
자궁선근증(Adenomyosis)란? (1) | 2025.04.09 |
장상피화생(Intestinal Metaplasia)이란?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