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9. 08:27ㆍ건강 모음
게실염(Diverticulitis)란?
게실염(Diverticulitis)은 장 벽의 약한 부위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주머니(게실, Diverticula)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게실은 주로 대장에서 형성되며, 특히 좌측 결장(하행결장, S자 결장)에 흔히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게실 자체는 증상을 유발하지 않지만(이를 ‘게실증’이라 함), 감염이나 염증이 생기면 복통, 발열, 소화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천공(장에 구멍이 생김), 출혈, 농양(고름), 장 폐색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1. 게실염의 원인
① 낮은 섬유질 섭취
섬유질이 부족하면 변이 단단해지고, 변을 밀어내기 위한 장 근육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게실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짐
변비가 심하면 장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게실이 더 쉽게 생김
② 노화
나이가 들수록 장 벽이 약해지면서 게실이 생기기 쉬움
50세 이상에서 흔하며, 60대 이상에서는 50% 이상의 유병률을 보임
③ 만성 변비 및 장내 압력 증가
변을 자주 참거나, 변을 보기 위해 힘을 많이 주는 습관이 게실 형성을 촉진
과도한 장내 압력으로 인해 게실이 쉽게 염증을 일으킴
④ 장내 미생물 불균형 및 감염
장내 유익균이 부족하면 게실 내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염증 발생 가능성 증가
⑤ 흡연 및 비만
흡연과 비만은 게실염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며,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음
---
2. 게실염의 증상
게실염의 증상은 **급성(갑작스럽게 발생)과 만성(반복적으로 발생)**으로 구분됩니다.
① 급성 게실염 증상
좌측 하복부 통증(특히 S자 결장 부위)
우측 하복부 통증(맹장 부위)과 유사하여 맹장염과 혼동될 수 있음
발열, 오한 (염증으로 인해 체온 상승)
오심, 구토, 식욕 감소
변비 또는 설사 (장 운동 이상으로 인해 변이 불규칙하게 나옴)
복부 팽만 및 압통
혈변(출혈이 동반될 경우)
② 만성 게실염 증상
게실염이 반복되면서 장 벽이 두꺼워지고 **협착(좁아짐)**이 발생할 수 있음
지속적인 복부 불편감 및 변비
복부 팽만감 및 가스가 차는 느낌
식후 불편함이 심해질 수 있음
---
3. 게실염과 게실증의 차이

게실증이 있는 사람 중 일부만 게실염으로 진행하며, 게실염을 한 번 겪으면 재발 위험이 높아짐.
---
4. 게실염의 진단 방법
① 신체 진찰
복부 촉진 시 좌측 하복부 압통이 나타남
발열 및 전반적인 복부 불편감 확인
② 혈액 검사
백혈구 증가(염증 반응) 확인
CRP(염증 수치) 상승 여부 확인
③ CT(컴퓨터 단층 촬영)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
게실의 크기, 염증 정도, 천공 여부 확인
④ 대장내시경 (급성기 이후 시행)
급성 게실염이 가라앉은 후 게실의 상태 및 합병증(출혈, 협착 등) 확인
급성기에는 시행하지 않음 (장 천공 위험이 있음)
---
5. 게실염의 치료 방법
① 경미한 경우 (가벼운 염증, 합병증 없음)
금식 또는 저잔사식(섬유질이 적은 부드러운 음식) 섭취
경구 항생제(Ciprofloxacin, Metronidazole 등) 투여
수분 섭취 증가 및 장 휴식
② 중등도~중증 (입원이 필요한 경우)
금식(장내 염증이 심할 경우)
정맥 항생제 투여
탈수 방지를 위한 수액 공급
③ 수술적 치료 (심한 합병증 발생 시)
농양(고름) 형성, 장 천공, 심한 협착(장폐색) 발생 시 수술 필요
대장 일부 절제술(부분 절제, bowel resection) 시행 가능
---
6. 게실염의 합병증
게실염이 심해지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농양(Abscess, 고름 형성)
염증이 심해지면서 고름이 차는 현상
큰 농양은 배액술(Drainage) 필요
② 장 천공(Perforation, 장벽에 구멍이 생김)
장 내용물이 복강으로 유출되면서 복막염(Peritonitis) 발생 가능
긴급한 수술 필요
③ 장 폐색(Bowel Obstruction)
염증이 반복되면서 장이 좁아지는 협착(Stenosis) 발생 가능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 필요
④ 출혈(Diverticular Bleeding)
게실 부위의 혈관이 손상되면서 혈변(붉거나 검은 변) 발생 가능
---
7. 게실염 예방 및 관리
① 고섬유질 식단 유지
채소, 과일, 통곡물, 견과류 섭취 증가
변비 예방 및 장 건강 유지
②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2L 이상의 물 섭취가 장 운동을 원활하게 함
③ 규칙적인 운동
장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예방
④ 변비 예방 (장운동 개선)
배변 습관을 규칙적으로 유지
변을 오래 참지 않기
⑤ 흡연 및 과음 피하기
흡연과 음주는 장 염증을 유발할 수 있음
---
8. 결론
게실염은 장 벽에 형성된 주머니(게실)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 통증과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미한 경우에는 항생제와 식이 조절로 치료할 수 있지만,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식습관 개선, 충분한 수분 섭취, 변비 예방 등을 통해 게실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드름(Acne)란? (2) | 2025.04.09 |
---|---|
치매(Dementia)란? (0) | 2025.04.09 |
자궁선근증(Adenomyosis)란? (1) | 2025.04.09 |
장상피화생(Intestinal Metaplasia)이란? (0) | 2025.04.09 |
옴 진드기 (Sarcoptes scabiei)란?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