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4. 07:49ㆍ건강 모음
역사 속 가장 치명적인 질병, ‘페스트’란 무엇인가요?
한때 유럽 인구의 3분의 1을 사망에 이르게 했던 ‘흑사병’, 바로 **페스트(Pest)**입니다.
중세의 공포로만 알고 있었던 이 질병이 오늘날에도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페스트의 정체부터 증상, 감염 경로, 예방 및 치료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페스트란?
페스트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병입니다.
쥐, 다람쥐 등 설치류가 보균하고 있으며, 이를 옮기는 벼룩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로, 특히 **14세기 유럽을 강타한 ‘흑사병(Black Death)’**은 약 7천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
페스트의 전파 경로
1. 설치류 → 벼룩 → 사람
가장 일반적인 전파 경로
감염된 벼룩이 사람을 물어 전염
2.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
설치류를 비롯해 고양이, 개 등 감염 동물과의 접촉
3. 사람 간 전파 (폐페스트의 경우)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를 통한 비말 감염 가능
특히 폐페스트는 전염성이 매우 강함
---
페스트의 주요 유형과 증상
1. 선페스트 (Bubonic plague) – 가장 흔함
림프절이 붓고 통증이 심함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고열, 오한, 두통, 극심한 피로
림프절이 흑색으로 괴사되기도 하며 ‘흑사병’이라는 별칭의 이유
2. 폐페스트 (Pneumonic plague) – 가장 위험함
전염성이 가장 높고 치명률도 높음
기침, 가슴 통증, 호흡곤란, 혈담
치료 없이 방치 시 수일 내 사망 가능
3. 패혈증성 페스트 (Septicemic plague)
균이 혈류를 타고 퍼짐
갑작스런 고열, 복통, 구토, 출혈, 피부가 검게 변색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사망률이 높음
---
페스트는 아직도 존재하나요?
네, 현재도 전 세계 일부 지역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주로 아프리카 일부 국가, 미국 서부, 중국 내몽골 일부 지역 등에서 발생 사례가 보고됩니다.
다행히 빠른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초기 대응이 늦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야생 설치류와 접촉 금지
감염 우려 지역에서는 벼룩 방제, 위생 관리 철저히
유행 지역 여행 시 예방 약제나 보호장비 사용 고려
감염자 격리 및 보건 당국에 즉시 신고
의료진은 의심 환자 진료 시 마스크, 장갑, 방호복 착용
---
치료는 가능한가요?
페스트는 항생제 치료가 가능한 세균 감염병입니다.
대표적으로 스트렙토마이신, 겐타마이신, 독시사이클린 등이 사용됩니다.
단, 치료 시작 시점이 늦으면 치명률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
마무리하며
페스트는 과거의 병처럼 느껴지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발생할 수 있는 현존하는 감염병입니다.
특히 해외 여행이 잦아지는 요즘, 감염병 정보에 대한 경각심과 예방 지식은 누구에게나 중요하죠.
우리는 과거처럼 수많은 희생 없이, 의학과 정보의 힘으로 질병을 이길 수 있습니다.
.
'건강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근육통: 증상, 원인, 치료법까지 (0) | 2025.04.14 |
---|---|
어깨충돌증후군: 증상과 원인, 치료법까지 (2) | 2025.04.14 |
갑자기 피부에 붉은 반점이? 발진의 원인부터 대처법까지 (0) | 2025.04.14 |
코 안에 구멍이 생긴다고요? 비중격만공증이란? (0) | 2025.04.14 |
배가 아픈데… 참아야 할까? 복통의 원인부터 응급 대처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