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7. 09:54ㆍ건강 모음
갑상선암 (Thyroid Cancer) 개요
갑상선암은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비교적 예후가 좋은 암이지만 종류에 따라 치료 및 진행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으며, 치료 후 생존율도 다른 암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
1. 갑상선의 기능과 역할
갑상선은 목 앞쪽, 기관(숨길) 앞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으로, 우리 몸의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기초 대사 조절: 에너지 소비 및 체온 유지에 영향을 줍니다.
심혈관 기능 조절: 심장 박동과 혈압을 조절합니다.
소화 및 신경 기능 조절: 소화 운동과 신경 전달 속도를 조절합니다.
성장과 발달: 특히 어린이의 성장과 두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갑상선암의 종류
갑상선암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각각의 특성과 예후가 다릅니다.
(1) 유두암 (Papillary Thyroid Carcinoma)
가장 흔한 갑상선암(전체 갑상선암의 약 80~85%)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가 천천히 진행됨
림프절 전이는 흔하지만 예후가 좋고 생존율이 높음
치료 반응이 좋고, 치료 후 재발률이 낮음
(2) 여포암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갑상선암의 약 10~15% 차지
유두암보다 드물지만, 혈관을 통해 폐, 뼈 등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음
조기 발견 시 예후가 좋으며, 치료 후 생존율이 높음
(3) 수질암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TC)
갑상선 C세포에서 발생하며, 전체 갑상선암의 약 3~5% 차지
다른 갑상선암보다 공격적이며, 림프절 및 원격 전이 가능성이 높음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어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정기 검진이 필요함
(4) 미분화암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전체 갑상선암의 1~2%로 드물지만, 가장 공격적인 형태
빠르게 성장하며, 주변 조직과 기관을 침범할 가능성이 높음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음
---
3. 갑상선암의 원인과 위험 요인
갑상선암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갑상선암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특히 수질암(MTC)은 유전적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음
(2) 방사선 노출
어린 시절 방사선 치료(머리, 목 부위)가 갑상선암 위험을 높일 수 있음
원자력 사고(체르노빌, 후쿠시마) 이후 갑상선암 발병률 증가 사례가 있음
(3) 요오드 섭취 불균형
요오드 결핍 또는 과다 섭취가 갑상선 질환 및 갑상선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음
(4) 성별과 연령
여성에서 발생률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높음
30~50대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어떤 연령대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
---
4. 갑상선암의 증상
갑상선암은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병이 진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에 혹(결절)이 만져짐
쉰 목소리 (성대 신경 침범 시)
삼키기 어려움 또는 숨쉬기 어려움 (암이 기관을 압박할 경우)
목 통증 또는 귀로 퍼지는 통증
림프절 부종 (목 부위 림프절이 커짐)
---
5. 갑상선암의 진단
(1) 신체 검사 및 병력 청취
목에 혹이 있는지 확인하고, 가족력 및 방사선 노출 여부 등을 조사
(2) 갑상선 초음파
갑상선 결절의 크기, 모양, 석회화 여부 등을 평가
(3) 미세침 흡인 생검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초음파 유도하에 가는 바늘로 결절 조직을 채취하여 암세포 여부를 확인
(4)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TSH, T3, T4)
칼시토닌 검사(수질암 의심 시)
암 표지자 검사(티로글로불린, 칼시토닌)
(5) CT, MRI, PET-CT
암의 진행 상태 및 전이 여부 평가
---
6. 갑상선암의 치료 방법
(1) 수술적 치료
갑상선 부분 절제술: 작은 종양의 경우 한쪽 엽만 제거
갑상선 전 절제술: 종양이 크거나 양측에 있는 경우 갑상선을 완전히 제거
(2)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을 절제한 후 남아있는 갑상선 조직이나 전이된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
요오드를 흡수하는 갑상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방사성 요오드를 투여
(3) 호르몬 억제 치료
갑상선 호르몬(T4) 보충제를 복용하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분비를 억제
재발 위험을 낮추는 효과
(4) 표적 치료 및 항암 치료
진행성 또는 전이된 갑상선암(특히 수질암, 미분화암) 치료에 사용
특정 유전자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 사용
---
7. 갑상선암의 예후와 생존율
유두암, 여포암: 조기에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90% 이상
수질암: 조기 발견 시 예후가 좋지만, 진행된 경우 생존율이 낮아질 수 있음
미분화암: 진행이 빠르고 예후가 나쁨, 5년 생존율이 낮음
---
8. 갑상선암 예방 및 관리
정기적인 건강검진: 가족력이 있거나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초음파 검사 권장
요오드 균형 유지: 과다 또는 부족한 요오드 섭취를 피하고 균형 잡힌 식단 유지
방사선 노출 최소화: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을 피함
건강한 생활 습관: 스트레스 관리, 적절한 운동, 균형 잡힌 식사 유지
---
결론
갑상선암은 조기 발견 시 치료가 용이하고 예후가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이 갑상선암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건강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사 (Diarrhea) 개요 (0) | 2025.04.07 |
---|---|
배란통 (Ovulation Pain, Mittelschmerz) 개요 (1) | 2025.04.07 |
지방간 (Fatty Liver Disease) 개요 (0) | 2025.04.07 |
틱장애: 반복적인 움직임과 소리를 유발하는 신경학적 장애 (0) | 2025.04.07 |
쿠싱증후군: 과도한 코르티솔로 인한 내분비 질환 (9)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