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8. 10:41ㆍ건강 모음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에 있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겨 발꿈치와 발바닥에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의 주요 원인:
* 과도한 사용: 장시간 서 있거나 걷기, 뛰기 등 발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 잘못된 신발: 쿠션이 없는 딱딱한 신발이나 하이힐 등 발에 부담을 주는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
* 과체중 또는 비만: 발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여 족저근막에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
* 평발 또는 요족: 발의 아치에 이상이 있어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 아킬레스건 단축: 종아리 근육이 뻣뻣하여 발목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족저근막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경우
* 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운동을 시작하는 경우
족저근막염의 주요 증상:
* 아침 첫 발을 디딜 때 심한 통증: 밤새 수축되었던 족저근막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 활동 후 통증 증가: 오래 걷거나 서 있거나 운동을 한 후에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발꿈치 안쪽 통증: 주로 발꿈치뼈 앞쪽 안쪽에 통증이 나타나며, 누르면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굽힐 때 통증: 족저근막이 늘어나면서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 처음 몇 걸음 동안 통증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종아리 근육의 뻣뻣함: 아킬레스건 단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
족저근막염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줄이고 족저근막의 염증을 가라앉히며 기능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보존적 치료:
* 휴식: 통증이 있는 동안에는 발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트레칭: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합니다. (예: 벽 밀기, 계단 스트레칭, 수건 당기기 등)
* 마사지: 발바닥과 종아리 근육을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긴장을 풀어줍니다.
* 냉찜질: 염증과 통증을 줄이기 위해 하루 2-3회, 15-20분씩 냉찜질을 합니다.
* 소염진통제: 통증이 심할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소염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 보조기 착용:
* 깔창 (Orthotics): 발의 아치를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 뒤꿈치 컵 (Heel Cup): 뒤꿈치 부위를 감싸 충격을 흡수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야간 부목 (Night Splint): 잠자는 동안 발목을 발등 쪽으로 고정시켜 족저근막이 수축되는 것을 막아 아침 통증을 줄여줍니다.
* 체외충격파 치료 (ESWT): 만성적인 족저근막염에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3주 간격으로 2-3회 정도 시행합니다.
*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등을 통해 염증과 통증을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인 효과나 부작용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합니다.
2. 수술적 치료:
6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제한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족저근막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늘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 가능성이 있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족저근막염 예방 및 관리:
* 적절한 체중 유지: 발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 쿠션이 좋은 편안한 신발 착용: 하이힐이나 바닥이 얇은 신발은 피합니다.
* 운동 전후 스트레칭: 발과 종아리 근육을 충분히 풀어줍니다.
* 무리한 운동 피하기: 자신의 운동 능력에 맞게 점진적으로 운동량을 늘립니다.
* 장시간 서 있는 경우 발을 자주 움직여주기: 족저근막의 긴장을 풀어줍니다.
* 통증이 느껴지면 즉시 휴식: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습니다.
* 꾸준한 스트레칭 생활화: 통증이 좋아진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스트레칭을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장애 증상 및 치료법 (0) | 2025.03.28 |
---|---|
대하(帶下) (0) | 2025.03.28 |
조현병 (Schizophrenia) (0) | 2025.03.28 |
대상포진에 대한 정보 (0) | 2025.03.28 |
에이즈 정보 및 예방과 원인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