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 이물감이 계속 느껴진다면? 식도염을 의심해보세요
목에 이물감이 계속 느껴진다면? 식도염을 의심해보세요
요즘 목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 혹은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시나요? 혹시 소화는 잘 안 되고, 신물이 올라오는 듯한 경험도 있으신가요?
이런 증상들이 있다면, 단순한 소화불량이 아니라 **식도염(Esophagitis)**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가볍게 넘기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 질환으로 악화될 수 있는 식도염. 오늘은 이 식도염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식도염이란?
식도염은 이름 그대로 식도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식도는 입과 위를 연결하는 길인데, 위산이나 음식물, 약물 등에 의해 이 부위가 손상되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
식도염은 한 가지 원인이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것은 **역류성 식도염(GERD)**입니다.
---
식도염의 원인
1. 역류성 식도염 (GERD)
위의 강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을 자극하는 경우입니다. 가장 흔한 식도염의 형태죠.
2. 약물성 식도염
특정 약물이 식도에 닿아 자극을 줄 수 있어요.
예: 진통제(NSAIDs), 항생제, 철분제, 비스포스포네이트(골다공증 약) 등
3. 감염성 식도염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곰팡이, 바이러스, 세균 등이 식도에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 (예: 칸디다 식도염)
4. 호산구성 식도염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식도에 호산구가 침윤하는 염증성 질환
5. 기계적 손상
거친 음식물, 이물질 삼킴, 혹은 내시경이나 튜브 삽입으로 인한 자극
---
주요 증상
식도염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목에 이물감
가슴 쓰림(heartburn) 또는 명치 부위 통증
음식 삼키기 어려움 또는 통증
신물이 올라오는 느낌, 위산 역류
입냄새, 입맛 저하
심한 경우 출혈(피 토함), 빈혈까지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식사 후, 눕거나 숙였을 때 증상이 심해진다면 역류성 식도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진단 방법은?
식도염은 문진과 증상만으로도 어느 정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원인 파악과 상태 확인을 위해 아래와 같은 검사가 시행됩니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 (위내시경)
식도 점막의 염증 정도, 궤양 여부 확인
조직 검사 (생검)
감염성인지, 혹은 호산구성인지 구분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pH 검사)
위산 역류 빈도 확인 (주로 GERD에서 사용)
---
치료 방법
식도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1. 약물 치료
위산 분비 억제제
PPI (프로톤 펌프 억제제):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등
H2 수용체 차단제: 라니티딘, 파모티딘 등
제산제
위산을 중화시켜 증상을 완화
점막 보호제
식도 점막을 보호해 회복을 돕는 약
항진균제 / 항생제 / 항바이러스제
감염성 식도염인 경우 해당 원인균에 따라 처방
2.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자극적인 음식(매운 음식, 튀김, 커피, 초콜릿, 탄산음료) 피하기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최소 2~3시간 뒤 눕기)
과식 피하고, 천천히 씹어 먹기
체중 조절
술, 담배 금지
머리 쪽을 살짝 높여 자는 자세 (위산 역류 방지)
---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나요?
대부분의 식도염은 약물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호전됩니다.
하지만 위산 역류가 심하고 약물로도 조절되지 않는 경우, 위식도 접합부를 조이는 **항역류 수술(예: 니센 펀도플리케이션)**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식도염을 방치하면 만성화되어 식도 협착, 식도 궤양, 바렛식도로 발전할 수 있어요.
특히 바렛식도는 식도암의 전단계 병변이기 때문에 조기 치료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식도염은 단순히 "소화가 안 되는 증상"으로 오해되기 쉽지만,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장기적으로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해요.
목에 이물감, 속쓰림, 위산 역류 등의 증상이 반복된다면, 무심코 넘기지 말고 꼭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건강 꿀팁 요약]
아침 거르지 않기
식사 후 최소 2시간은 눕지 않기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규칙적인 생활 습관
증상 지속 시, 병원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보기